본문 바로가기

인문운동가의 인문에세이

나이를 먹으면 인생이 비슷해지는가?

사람들은 말한다. 40대는 외모의 평준화가. 50대는 지식의 평준화가, 60대는 재산의 평준화가, 70대는 영성, 정신 세계의 평준화가, 80대는 건강의 평준화가 이루어진다고 한다. 정말일까?

정말이라면, 왜 그렇까?

(1) 많이 가진자의 즐거움이 적게 가진 자의 기쁨에 못 미치기 때문이라고 한다.

즐거움과 기쁨이 차이가 있는가? 사전을 찾아 본다. 기쁨은 욕구가 충족되었을 때의 즐거운 마음이나 느낌이라면, 즐거움은 마음에 거슬림이 잆이 흐믓하고 기쁜 느낌이나 마음이라고 정의한다. 비슷한 것 같은데, 즐거움은 어떤 상태라면, 기쁨은 어떤 행위의 결과인 것 같다. 그러니까 없다가 얻게되었을 때 오는 것은 기쁨이고, 늘 있는 것은 즐거움인 것 같다. 그러니까 기쁨이 즐거움보다 더 강한 감정인 것 같다. 늘 있는 사람은, 없다가 그것을 얻게 되었 때 느끼는 감정을 모를 것이다.

(2) 많이 아는 자의 만족이, 못배운 사람의 감사에 못미치기 때문이다.

만족은 '물의 고임'이라면, 감사는 '물의 흐름'일 것이다. 이렇게 +와 -하면, 마지막 계산은 비슷하고, 모두 닮아가기 때문 같다.

그러니 살다보면 별 인생 없다. 현재를 즐기는 것이 남을뿐이다.

10대땐 공부 잘해 좋은 대학 가는 게 자랑이고, 20대 땐 좋은 직장에 들어가는 것,
30대 땐 좋은 배우자와 결혼해 좋은 집에 사는 것,
40대 땐 승진해서 사회적 지위가 올라가는 것, 50대 땐 재산이 많은 것,
60대 땐 자식이 성공하는 것,
70대가 넘어서면 그저 자기 몸 하나 건사하며 건강하게 지내는 것이 자랑이다.

50대들이 모이는 동창회에서 학교 다닐 때 공부 잘 했다고 자랑하거나, 20대 때 취업 잘했다고 자랑하는 사람은 없다. 70대가 넘으면 자기 건강한 것만 자랑이 되듯 젊은 시절에 얼마나 공부를 잘했든, 사회적으로 얼마나 성공했든, 돈을 얼마나 벌었든 별 인생이 없다. 지나고 보니까, 힘든 시기들로 그저 한 세월을 지낸 것뿐이다.

그렇다고 사는데 애를 쓰지 말자는 것은 아니다. 더  나은 삶을 위해 현재의 욕망을 희생하며 애쓴 일은 언제나 아름답다. 하지만 그 애씀 속에서 보람을 찾아 현재를 살아내지 못한다면 행복은 언제나 미래로 유보된다는 것이 문제이다. 그러니까 행복을 미래에서만 찾으려는 생각이 문제이다. 미래의 더 나은 삶을 위해 현재의 순간을 희생해선 영원히 행복할 수 없다. 현재를 즐긴 것은 남는다. 인생 뭐 있나?

오늘도 새롭게 주어진 하루, 애쓰면서 보람을 찾고 즐기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