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운동가의 인문에세이

우리에겐 상상력이 부족하다.

우리 정치판과 언론에도 상상력이 필요하다. 백광엽 한국경제 논설위원의 글을 어제 읽고 뒤로 넘어갔다. 정말 편견이고 세상에 대한지식과 경험 부족이다. 68혁명을 이렇게 말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문제는 이런 자가 논설위원이라는 것이다. 악의가 있는 것일까? 내 생각으로는 편견이다.

"다소 갑작스런 상상력의 부상은 ‘상상력에 권력을’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던 프랑스 68혁명의 기억을 소환한다. 뚜렷한 혁명의 계기도, 지도부도 없었던 이 수상한 혁명은 대학생들이 이끌었다. 역사상 최초의 비(非)프롤레타리아 주도 혁명이었다. ‘금지를 금지하라’ ‘혁명을 생각하면 섹스가 떠오른다’ 같은 상상 밖의 구호를 내걸고 기존 정치체제와 윤리에 대한 전면적 반란을 꾀했다. 목표조차 희미해 파괴와 혼란으로 치달았던 68혁명의 전개는 현 정부 대북정책의 모호함과 오버랩된다. ‘대북 상상력’은 사실 문 대통령이 수차례 해온 말이다. 1년 전 트럼프·김정은 판문점 회동 이후 열린 국무회의에서 ‘상상력’이란 단어를 8번이나 언급하며 감격해했다. 그런데 ‘상상력’ 발언이 나오기 시작한 이후 돌아가는 분위기가 수상하다. 정세현 부의장은 라디오에 출연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만든 건 미국”이라는 엉뚱한 진단을 내놨다. 2001년 평양을 다녀온 김대중 대통령이 “북은 핵을 개발한 적도, 개발할 능력도 없다”고 한 것과 비슷한 빗나간 상상력이다. 북핵이 안 풀리는 이유는 ‘상상력 빈곤’이 아니라 ‘상상력 과잉’ 탓이라는 게 지금까지의 교훈이다. 현실에 기반하지 않은 상상은 ‘망상’으로 끝날 가능성이 농후하다."  우리에게는 "창의적 공간"(이인영 통일부장관 후보)이 필요하다.

나는 그의 주장에 반대한다. 우리에겐 상상력이 부족하다. 이렇게 저렇게 꼬인 남북 관계는 상상력이 있어야 회복된다. 현재 여러 주변 국가들 과의 관계 속에서는 얽힌 실타래를 풀 수 없기 때문이다. 몇 해전부터 인문운동가로 나는 시 읽기의 중요성을 계속해서 강조하고 있다. 개인의 차원에서도 각자의 행복을 위해서, 우리는 각자의 상상력을 회복하여야 한다. 최고 좋은 방법이 시 읽기이다. 시속에서 은유(메타포)를 배우는 것이다. 은유는 서로 상관 없을 것 같은 것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힘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현실을 너무 구분하지 말고, 달과 해가 공존하는 어둠과 밝음이 함께하는 시선을 회복하게 해주는 힘이 거기서 나오기 때문이다.

정치적 상상력을 말해보자. 지금 우리 사회의 가장 심각성은 불평등 문제이다. 사회계급 문제이다. 누군가가 특정 사회 계층에 속했다는 이유만으로 갖가지 혜택을 누릴 때, 더 많은 누군가는 그런 혜택이 존재한다는 사실 조차 모르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우리 사회의 불평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사회가 너무 건조하다. 왜? 상상이 사라져 버렸기 때문이다. 이젠 정치적 상상력이 필요하다. 이 문제는 우리들의 삶의 문제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남북 문제도 마찬가지이다.

지금 나에게 가장 무서운 개인 편견이 있다면, 위에서 말한 다섯 가지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 세상에 대한 지식과 경험 부족/상상력 부족/오만과 자만심/공감 능력의 부족/삶의 내 외부 균형 상실. 공감 능력 부족은 상상력 부족과 깊은 관련이 있다. 세상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다면, 독서를 하지 않는 것일 수도 있다.

1년 전에 제 담벼락에 썼던 것을 다시 또 적어 본다. 책을 안  읽는 사람들은 그리 깊게 생각하며 살지 않는다. 심지어 제 아침 글이 길다고 그냥 무시하는 사람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니 생각하는 대로 살지 못하고, 사는 대로 생각한다. 상상력은 '택도' 없다. 어떤 사안에 대해 손익을 잘 '계산하고', 이해관계와 감정에 따라 '의심'은 할지 언정, 근본의 이치를 헤아리고, 삶의 방향을 세우는 '사유'는 하지 않고 살아간다.

책이나 글을 읽지 않고 자신도 모르게 몸과 마음에 밴 편견과 습관에 안주하다 보면, 우리는 자신에게 익숙한 종교나 이데올로기 그리고 물질적 욕망에 맹목적으로 매달리며 매일 매일을 연명할 뿐이다.

#인문운동가_박한표 #우리마을대학_인문운동연구소 #사진하나_시하나  #로버트_브리지스  #복합와인문화공간_뱅샾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