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운동가의 인문에세이

예능도 중요하다. 그러나 문제는 예능에만 빠진다는 것이다.

다시 최진석 교수의 몇 가지 주장들을 갖고 나의 인문 정신을 더 높게 고양시켜본다.

(3) “예술가들은 무엇을 표현할까 에만 집착할 게 아니라 자기가 어떤 사람인지 살피지 않으면 안됩니다. 만들어진 예술이 아닌, 튀어나오거나 토해져 나온 것들이어야 감동을 줍니다. 예술적 감동을 느끼는 것은 그 높이의 영혼을 갖는 것이고, 그런 예술적 높이를 자주 경험한다는 것은 영혼의 승화에 큰 영향을 미치죠. 아름다움으로 부터 받는 충격이 가장 높다고 생각합니다."(최진석)

훈련된 지성적 시선의 높이가 그 사람의 예술 수준이다. 그런 사람은 자신의 시선과 활동성을 인문학적 높이에서 작동시킨다. 그 때 작동되는 것이 다음의 세 가지이다. (1) 창의력과 상상력 (2) 윤리적 민감성 (3) 예술적인 영감. 위에서 말한 '지성'이란 인간이 그리는 무늬, 인문(人文)의 흐름을 포착하고, 감동하며 즐거워하는 능력이다. 일반적으로 감동이나 즐거움은 대상이 발산하는 시선과 보는 사람의 시선이 일치할 때 나온다. 그리고 인간의 가장 탁월한 시선으로부터 예술이 나온다. 문제는 예술이란 이미 있는 길을 익숙하게 걷는 것이다. 지금의 장소에서 없는 길을 새로 열면서 가는 모험에서 나온다는 것이다.

(4) "또 예술을 그냥 감상할 때와, 계속 갖고 싶어 소유할 때 그 입장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감상만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는데 소유해 보니 다른 높이, 색깔의 감동이 오더군요. 예술품으로부터 얻는 감동의 높이로 내가 상승한다는 기분을 갖는 건 너무 행복한 경험이죠.”(최진석)

예능 대신 예술이 있는 삶을 살아야 한다. 예능은 당장의 시각적 즐거움을 만들어 내는 일이다. 예술은 추상적이지만 한 차원 높은 수준에서 전율과 감동을 일으키는 일이다. 만화만, TV 드라ak에만 관심을 두면, 예술을 알 수 없다. 셰익스피어를 읽어야 한다. 예능과 예술은 다르다. 예술의 핵심은 미학적 정서와 철학적 사유이다. 즉 정서적 미학과 철학적 가치라고 다르게 말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감동과 변화이다. 가짜와 진짜는 여기서 판가름 난다.

예능도 중요하다. 그러나 문제는 예능에만 빠진다는 것이다. 예능의 대척점에 있는 것이 예술이다. 예술은 생각하며 즐겨야 즐거움이 온다. 그리고 깊은 생각을 하며 예능을 보면 재미가 없다. 예능을 즐기는 이유는 생각하는 수고를 하기 싫어서 이다. 생각하는 데는 힘이 들기 때문이다. 누군가 예능에만 빠진다면, 그는 분명히 생각하기를 싫어하는 사람이다. 생각하는 수고를 많이 하다 보면 쉬고 싶을 때가 있다. 예능은 그럴 때 즐겨도 충분하다. 큰 폭과 높은 높이가 없이 소확행에만 빠지면 사람이 작아져 버리듯이, 예술 없이 예능에만 빠져도 사람은 쉽게 작아진다.

지금 세상이 거짓말처럼 트로트 열풍에 빠져 있다. 하지만 이 열풍은 어딘가 수상하다. 좋은 노래들이 쏟아져 나와 생긴 본질적 흐름이 아니라 ‘음악의 예능화'로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그만큼 빨리 휘발될 이 열풍의 이면을 들여다보는 건 괴롭다. 가사는 너무 뻔하고 퇴행적이어서, 어떤 건 듣기에도 민망하다. 멜로디엔 미학적 수고의 흔적이 보이지 않고, 편곡은 열 곡이 한 곡인 듯 기계적 패턴을 반복해왔다. 그리고 교태 섞인 꺾기를 가창의 표준으로 삼아, 무대에서 품위를 밀어내 왔다. 어느 음악학자는 트로트의 미덕이 솔직함이라 했다. 솔직함은 삶을 대면하는 솔직한 태도여야 하지, 감정을 여과없이 쏟아내는 미학적 방기여선 안될 것이다. 이주엽이라는 작사가의 주장이다. 나도 전적으로 동의한다.

(5) 최진석 교수는 지적인 활동을 통해서 내가 승화된다는 걸 알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음악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가장 예술적인 것은 ‘의외성'에서 온다고 했다. 누구나 생각하는 방식에서 벗어나는 것, 세상일도 잘 하려고 해서 잘하는 확률보다는 ‘다르게’ 하다가 잘하게 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설명이다. “결국 하고 싶은 말은 우리, 지금보다 나은 우리가 돼 보자는 것이다.” 음악은 쉴 곳 모르는 마음의 피신처이다.언어로 사유하고 언어로 욕망하는 우리 인간에게 음악만큼 완벽한 피난처는 없다. 언어는 가끔 사심없이 아름다울 때도 있지만, 끊임없이 욕망과 결핍을 자극하는 폭주장치가 되기도 한다. 우리를 잠시 언어에서 탈출시켜, 선율과 리듬이 인도하는 무한한 감성의 세계로 이끄는 음악이야 말로 언제 들어도 질리지 않는 명곡이 된다. 어떤 음악은 '더 나은 존재'가 되려는 지나친 욕심이 씻겨 나가고 오직 '사랑하는 존재'로서 내 삶을 가꿔가겠다는 든든한 결심이, 불안에 휩싸인 영혼을 달래 준다.

<소학>의 주석서인 <집해>에 이런 문장이 있다. "곧은 자는 반드시 온화함이 부족하므로 온화하고자 하고, 너그러운 자는 반드시 그 엄숙함이 모자라니 한쪽으로 편벽될까 염려하며 보충하는 것이고, 강한 자는 반드시 오만함에 이르므로 그 오만함을 없애고자 하니, 그 지나침을 막아서 경계하고 금지하는 것이다. 주자(고관대작의 맏아들)를 가르치는 자는 이같이 하되 그 가르지는 바의 도구는 오로지 음악에 있으니, 음악은 사람에게 중화의 덕을 길러서 그 기질의 편벽됨을 구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긴장과 이완의 균형 맞추기를 하는 것처럼, 곧음에 온화함을, 너그러움에 엄숙함을, 강함에 겸손함을 더하는 것이 바로 중용의 덕인데, 음악이 그걸 길러준다는 것이다.

다른 글들은 블로그 https://pakhanpyo.tistory.com 이나 https://pakhanpyo.blogspot.com 을 누르시면 보실 수 있다.

#인문운동가_박한표 #우리마을대학_디지털_인문운동연구소 #사진하나_시하나 #홍사성 #복합와인문화공방_뱅샾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