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말하는 자유인은 자기 확신과 자기 존경으로 탁월(자유 자재함)을 수련하여 어제보다 나은 나를 만드는 사람이다. 그 반대로 어제와 똑같이 주위의 인정에 목마른 사람은 자발적인 노예이다. 지난 주 배철현 선생의 <월요 묵상>을 읽고, 성찰한 내용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우리는 탁월해지는 것이 아니라. 탁월함이 드러나는 것이다. 왜냐하면 모든 사람은 탁월하기 때문이다. 그 탁월함이 드러나지 않는 것은 자신들의 탁월함을 드러나지 못하도록 막고 있기 때문이다.
배철현 선생에 의하면, "소극적인 의미의 자유는 타인으로부터 구속을 받지 않는 상태이지만, 적극적인 의미의 자유는, 자신이 간절히 원하는 것을 지금-여기에서 몰입하는 기운이다." 이러한 몰입하는 기운은 자기 분야에서의 '탁월', '자유 자재함'에서 나온다. 그건 그냥 나오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수련과 배움에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코로나 시대 우리들은, 타인과의 신체적인 접촉이 급격하게 줄어들었지만, 그와 비례하여 자신의 손에 들고 있는 휴대폰의 자발적인 노예가 되었다. 이런 자발적인 노예로 살기보다는, 자신만의 삶의 노래로 자신에게 감동적이며 세상에 자비를 실천하는 자유로운 인간들의 공통점은 '탁월'이다. 배철현 선생도 그렇게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진정한 자유인이다. 나는 내 마음 둘 것을 찾았다. 내가 간절히 원하는 것이다.
그 탁월이란, 오랜 묵상을 거쳐 특정한 분야에서 소질을 발견하여, 그것을 갈고 닦는 수련을 거쳐, 소명으로 삼은 자의 자신이기도 하다. 이런 사람들의 특징은 "자신의 삶 전체를, 이 소질을 탁월로 변모 시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기에 언제나 겸허하고 겸손하며, 경외할 줄 안다는 점이다. 이런 사람의 특장의 '서슴없음'이 아니라, '머뭇거림'이다.
우리들의 삶은 우리를 한 방향으로 몰아간다. 그 분잡에 휩쓸리다 보면 존재에 대한 질문은 스러지고 살아남기 위한 맹목적 앙버팀만 남는다. 숨은 가빠지고 타인을 맞아들일 여백은 점점 사라진다. 서슴없는 언행과 뻔뻔한 태도가 당당함으로 포장될 때 세상은 전장으로 변한다. 정치, 경제, 문화, 언론, 사법, 종교의 영역에서 발화되는 말들이 세상을 어지러움 속으로 몰아넣고 있다. 지금 우리 시대에 필요한 태도가 있다면 ‘머뭇거림’이 아닐까? '머뭇거림'은 다음을 내포한다.
• 알 수 없는 것을 아는 것처럼 말하지 않으려는 겸허함,
• 함부로 속단하지 않으려는 조심스러움,
• 그리고 이해할 수 없는 것조차 수용하려는 열린 마음.
'인문운동가의 인문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문명과 물질문명은 하나다. (0) | 2022.05.11 |
---|---|
머뭇거림 (0) | 2022.05.11 |
인서울하지 못한 지잡대의 보수화는 다르다. (0) | 2022.05.09 |
“우리 더불어 숲이 되어 지키자.” (0) | 2022.05.07 |
학문(學問)이란 한자의 의미는 지식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물음(問)을 배우는 것, 즉 질문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0) | 2022.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