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운동가의 인문에세이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학>

"삶이란 비상을 거부하는/가파른 계단"이지만, "이리도 간절히 지상을 걷고 싶은/나의 신 속에 신이 살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믿어야 한다. "먼 길"이지만, 우리는 "타자 되기"를 꿈꾸어야 한다. 그것으로 내가 끈 신발의 이력이 되어야 한다. 이런 문제에 대해, 나는 어제 저녁에 윤정구 교수님의 페북을 읽고 갈무리해 보았다.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학>을 쉽게 설명하셨다. 공유한다. 이 시대에 우리에게 매우 필요한 것이 윤리의식이다. 이를 다른 말로 하면, '도덕적 압력'이다. 이 윤리의식이  우리를 '선하게 한다'는 말을 하고 싶은 아침이다. 이 말은 레비나스의 '윤리적 주체'가 되라는 말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고 나는 본다.

레비나스가 말하는 윤리적 주체란 타자의 다름을 받아들이고, 타자 중심적으로 사유하는 것이다. 어쨌든 공동체를 이끌어가는 최고의 덕목은 선이다. 선이란 '나쁜 짓 하지 말고 살아라'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나만 생각하고, 나의 욕심에 따라 나 밖의 것을 내 것으로 자기화하지 말고, 타자에로의 초월로 타자가 보내는 호소에 응답하는 것이 선이다. 나쁜 사람은 '나 뿐만' 아는 사람이라는 말이 있다. 그러니까 사적인 욕망보다 이를 위해 도덕적 양심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양심의 압력을 키워야 한다. 윤정구 교수는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학>을 다음과 같이 잘 요약했다.

(1) 'Il y a(일리야)"라는 존재의 심연(웅성거림만 존재하는 거기 있음의 세계) → (2) 향유를 통한 이기적이고 주체적 자아 (주체적인 동일성 세상에서의 향유를 통해 자신의 주체성을 찾아가는 초월) → (3) 타자에 대한 환대와 타자의 얼굴을 통한 관계적 만남 → (4) 타자 학습을 통한 타자 되기 (이를 통해 타자의 세상이 드러남) → (5) 많은 타자를 통한 무한의 경험 (무한의 세상을 목격)→ (6) 윤리적 주체로 거듭남.

(1)에서 (2)으로 초월: 그저 있음의 세상에서 초월해서 사랑도 해가며 삶을 향유도 해가며 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동도 해가며 미래를 대비해가며 집에 소유도 축적해가며 사는 삶으로부터 초월하여 자신의 주체적 자아를 찾는 일이다. 그러나 레비나스는 박노해 시인의 시(블로그에서 공유한다) 첫 연의 마지막 질문에 '아니오'라고 답한다. 향유를 통한 주체성과 동일성으로 쌓인 재현의 세상을 통해 내 영혼이 부르는 길을 따라갈 수 없다는 것이다.

(3)에서 (4)으로 무한의 세계로 확장: 자아실현을 넘어선 타자되기에 대한 이야기이다. 타자의 얼굴에 대한 환대가 제대로 자신의 주체성을 초월하여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한다. 타자의 세상은 능력이 있고, 재능이 있고, 부모를 잘 만나 세상의 행운을 다 향유해온 사람들이 자신의 몸을 낮춰 타자를 환대할 때 스스로 드러나는 세상이다. 재현(representation)이 아니라 현현(ephiphanie)된다. 타자의 세상이 그냥 모습이 드러난다. 이 때, 잘난 사람들이 자신을 낮출 때 타자는 그 잘난 이들에게 스승이 된다. 행운을 만끽해온 장본인인 나는, 타자를 환대해가며 타자되기를 공부하기 시작할 때, 재현에 의해 구성되었던 우주에 균열이 생기고 이 균열을 빠져나가, 무한의 세상을 목격하게 된다.

(5) 에서 (6)으로 윤리적 주체로 거듭 남: 환대를 통한 무한의 세계를 경험하면, 윤리적 주체로 거듭나다. 다시 말하면, 환대를 통해 향유하는 주체가 초월되어 윤리적 주체가 될 때 자아실현을 넘어서는 타아(윤리적 주체) 실현의 강한 무한 세계가 펼쳐진다는 이야기이다.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학에서 조심해야 할 것은 전제가 있다. 몇 차례의 초월을 통해서 타아(윤리적 주체) 실현의 세상에 도달한다는 점이다. "일리야"의 세상에서 벗어나지도 못한 현존재가 그냥 타아 실현할 수 있는 도약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레비나스는 공의 철학이다. 자아실현이라는 정신모형 1의 세상을 넘어서 타아실현이라는 정신모형 2의 세상을 플랫폼으로 구축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높은 곳에서 더 고르게 평평한 운동장을 만들어 변화를 실현시키려는 철학이다. 물론 자아실현이 안 된 사람은 타아실현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허구이다. 자신의 주체적 독립의 토대를 마련한 후 타자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자가 '위대한 개인'이다.

레비나스 철학이 지금 우리 사회에 필요한 것은 남의 고통을 내 고통으로 내재화해 이를 위해 행동으로 나서는 긍휼감을 환대의 기반이라 보기 때문이다. 긍휼감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넘어져 피 흘리고 있는 타자의 얼굴을 통해서 자신에게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 질문에 응답해 자신의 주체성, 동일성, 전체성의 가면을 벗고, 타자의 고통의 가면을 쓰는 것이다.

이런 타자되기를 실현하는 세상은 결핍의 해결을 추구하는 자아실현을 향한 욕구의 세상과는 다른 세상이다. 레비나스는 이 타자되기를 실현하는 세상을 여성성으로 설명한다. 자신의 고통에 대한 환대를 제대로 해 본 사람만이 타인의 고통의 얼굴에 대한 환대로 이어간다. 그게 여성성이다. 인간은 누구나 성장의 고통을 앓는다. 자신도 성장의 고통을 가지고 있고, 이 자신의 성장의 고통에 대한 직면이 레비나스가 말하는 여성성이다. 이 여성성은 내가 동일성의 집에 거주하고 있어도 나에 대한 환대를 느끼는 나의 얼굴이다.

소크라테스의 철학의 제 1원리는 "네 자신을 알라"이다. 자기 이해에 대한 정언 명령이고, 제 2 원리는 "길을 잃고 헤매는 내 자신을 제대로 돌보라며, 숙고하라는 자기 규율의 정언 명령이다. 자기와 세상에 대한 제대로 된 자기인식의 나침반으로 고전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 그 고전의 지도 위애서 나침반의 극성을 다시 점검하며 정신의 근육을 키워야 한다. 레비나스의 <타자 윤리학>은 제1의 철학이 윤리라고 주장한다. 이는 진정성 기득한 "타자 되기"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넘어지고 다쳐 피 흘리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환대"이다. "진실로 남이 될 수 있는 능력이/내가 가진 가장 큰 힘인 것을"(박노해, <남이 될 수 있는 능력> 일부) 잊지 말자. 박노해 시인의 시는 블로그로 옮긴다.

https://pakhanpyo.tistory.com
이나 https://pakhanpyo.blogspot.com 을 누르시면 된다.

#인문운동가_박한표 #우리마을대학_디지털_인문운동연구소  #복합와임문화공방_뱅샾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