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운동가의 인문에세이

나는 내가 나이를 먹은 줄 모른다.

<부부의 세계>란 드라마 이야기를 주변에서 많이 들었다. 난 TV를 보지 않기 때문에, 잘 모른다. 그러나 상상은 간다. 소설가 백영옥이 쓴 이런 글을 읽었다. "결혼에 대한 많은 비유가 존재하지만, 나는 종종 하나의 나침반을 들고 함께 걷는 존재에 대해 생각한다. 나침반은 끊임없이 흔들리고 나서야 비로소 더 정확한 방향을 가리키고 멈춘다. 그러므로 흔들리지 않고 멈춘 나침반은 고장 난 나침반이다. 부부 역시 방향을 맞추기 위해 이리저리 흔들리며 살아가는 존재들 아닐까." "드라마 속 비유처럼 사랑이 진부해지는 지름길이 결혼인 걸까. 하지만 어떤 부부는 '진부함'을 '친숙함'이라 고쳐 읽으며 노력한다. 대개의 진실은 늘 한발 먼 곳에 있다. 한 천주교 신부님은 내게 세상에서 가장 고된 수도 생활이 결혼일 수 있다고 말했다. 서로 다른 두 존재가 '나'나 '너'가 아닌 '우리'의 정체성을 만든다는 건 너무나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부부의 세계>에서 열연하고 있는 배우 김희애 이야기도 많이 들린다. 그녀는 49Kg을 유지하는 비결을 이렇게 말한다. "나이 드는 것에 저항하지 않아요. 그저 습관을 만들고 지킬 뿐이죠. 비결이라면 그게 전부입니다." 그 습관은 (1) 무엇을 먹든 항상 한 숟가락 남기기 (2) 무슨 일이 있어도 매일 체육관에 가서 1시간이상 운동하기 (3) 초코파이든 빵이든 1개 다 먹지 않기. 그녀는 늘 반복해서 겪는 일상적 행동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변형해 새로운 습관을 만들어 낸 것이다. 우리는 저마다의 삶에 맞는 일상의 습관을 발견하고 설계한 후, 일상 속에서 그 습관을 지배하며 산다. 웬디 우드는 『해빗』에서 이렇게 말한다. "인간 행동 중 43%를 차지하는 습관의 영역을 내 것으로 만들어 자신만의 '습관'을 설계할 수 있다면 우리의 삶은 분명히 달라질 것이다." 배우 김희애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하기도 했다. "딱히 목표를 세운 적은 없어요, 그저 제가 설계한 습관이 하루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녹아들 때까지 반복했을 뿐이죠." 누구나 완벽한 계획을 세우지만 의지력은 늘 처음에만 타오른다. 그 끝은 충동에 굴복한 후회일 뿐이다. 그건 당신의 잘못이 아니다. 자신만의 습관을 찾지 못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 뿐이다.

나는 내가 나이를 먹은 줄 모른다. 늘 무작위(無作爲)로 벌어지는 일들이 주변에서 많이 벌어지기 때문이다. 지루하지 않은 삶을 살기 때문이다. 사람들과 만남의 폭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2009년 유엔은 '호모 헌드레드(백세 인간)' 시대를 선포했다. 70세를 기대 수명으로 생애 주기를 결정했던 예전과 달리 100세를 새로운 생애 주기 기준으로 삼은 것이다. 현재 나이에 0.7을 곱해야 한다는 말인데, 지금 60세는 예전 기준으로 하면 42세인 셈이다. 의학과 시술의 발달로 40대처럼 보이는 60대도 많고, 예전 기준으로는 은퇴할 나이지만 현역에서 활동하는 사람도 많다. 나는 한 다발의 자아를 가지고 산다. 때에 맞춰 필요한 자아를 꺼내 쓴다. '나이 듦'이란 새로운 정체성으로 살아야 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젊은 시절부터 다양한 정체성을 오간 사람들이 훨씬 더 성숙한 노년을 맞이한다. 나이 듦에 대한 새로운 태도와 해석이 필요하다. 명함 속 직업과 직위를 자기 정체성이라 여기고 살아온 사람들은 은퇴 후 사적 영역에 돌입하면 크게 흔들린다. 인생을 공적인 것과 사적인 삶으로 나눈다면 여성에 비해 은퇴 후 남성들이 더 취약해지는 것도 그런 이유다. 아직 젊다고 느끼지만 은퇴 대열에 선 사람들에겐 '나는 누구이고 여기는 어디인가?'라는 본질적 문제가 다시 등장하기 때문이다. 소설가 백영옥 칼럼에서 읽은 것이다.

그리고 소설가 백영옥은 나이 듦 수업에서 고미숙 선생이 했다는 말을 전해준다. "어떤 점에서는 늘 병을 앓고 있는 게 좋아요. 그래야 몸을 조절합니다. 쓸데없는 욕심을 안 부리고요. 그래서 늙고 병드는 게 결코 나쁜 일이 아닙니다. 달라이 라마나 교황을 보세요. 우리 시대에 정말로 없어서는 안 될 사람들이잖아요. 노인이라 안 아픈 데가 없어요. 바로 그렇기 때문에 전 세계 사람들과 다 소통됩니다. 그것이 지혜예요. 지혜는 뭘 많이 가지고 있는 게 아닙니다." 선생은 청춘을 모방하지 말라고, 봄은 죽어도 여름을 알 수 없다고, 그런데 봄과 여름을 지나온 나만 아는 그 시간을 왜 스스로 부정하냐고 안타까워했다. 고령화 시대는 누구도 피할 수 없다. 세월이 비껴간 동안의 아름다움은 충분히 말했으니, 이제 세월을 관통한 몸에 대한 재발견이 중요하다.

그럼 어떻게 살까?  니체가 『짜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말했던 것처럼, 어린 아이처럼 사는 것이다. 오늘 아침 다시 니체가 말한 '인간 정신 발달 3단계'를 소환한다. "인간의 정신은 낙타의 정신에서 사자의 정신으로, 그리고 사자의 정신에서 아이의 정신으로 발전해 가는" 3단계를 말하는 것이다.

① 낙타의 정신: 낙타는 사막에서 무거운 짐을 지고 아무런 불만도 없이 뚜벅뚜벅 걸어 나아가는 동물이다. 이런 의미에서 낙타는 인내와 순종의 대명사이다. 그러니까 니체가 말하는 낙타의 정신은 사회적 가치와 규범을 절대적인 진리로 알면서 무조건적으로 복종하는 정신을 뜻한다. 다시 말하면, 무엇이 진정한 삶인지에 대한 고뇌도 하지 않은 채 기존의 사회가 정해준 삶의 방식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이런 삶을 ‘세상 사람의 삶(자기를 상실하고 세간의 가치를 추구하는 데 빠져 있는 삶’)이라고 하며, 니체는 ‘말세인의 삶(밑바닥까지 전락한 인간의 삶)’이라고 한다. 낙타는 주인에게 반항하는 법이 없다. 아무리 무거운 짐을 지고 모래 열풍이 부는 사막길을 걸어가도 대드는 법이 없다. 그저 묵묵히 순종하는 것이 낙타다. 그렇다고 마음이 편안한 것은 아니다. 주인에게 대들다가 쫓겨나면 사막에서는 죽는 길 밖에 없기 때문이다. 마지못해 복종하니 가슴 속에는 르상티망(원한)의 감정이 쌓여만 간다. 먹고 살기 위해 조직에 충성하는 월급쟁이가 저절로 떠오른다. 나는 낙타의 르상티망을 극복하고 싶다.

② 사자의 정신: ‘사자의 정신은 기존의 가치를 파괴하지만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지 못한다.’ 사자는 자신의 주인이라고 할지라도 권리와 자유를 침해당하면 대든다. 용맹하기 이를 데 없다. 항상 당당하고 위엄이 있다.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다. 다른 존재들과 어울리지를 못한다. 늘 혼자다. 팀플레이를 할 줄 모른다. 늘 불안하고 고립돼 있다. 나는 사자의 불안감을 극복하고 싶다.  

③ 아이의 정신: 놀이에 빠진 어린아이처럼 산다. 아이처럼 산다는 것은 삶을 유희(놀이) 처럼 사는 것이다. 그것도 재미있는 놀이이어야 한다. 그러면 그저 삶이라는 놀이에 빠져서 그것을 즐길 뿐이다. 삶의 의미를 물을 필요는 없다. 그러니까 그런 물음 자체가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어린아이는 조금 전까지 싸우다 바로 다시 웃으면서 어울린다. 과거를 잊는 것이다. 과거의 실패도 성공도 다 잊는 것이다. 과거를 잊는 방법은 교훈을 빨리 얻는 것이다. 또 하나 어린아이들은 현재를 즐길 줄 안다. 카르페디엠(현재를 즐긴다)는 것은 몰입하고 집중하는 것이다.  몸의 나이는 늙어가지만, 내 정신의 나이는 거꾸로 간다. 어린아이처럼 사는 것이다.

#인문운동가_박한표 #우리마을대학-인문운동연구소  #복합와인문화공간_뱅샾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