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운동가의 사진 하나, 시 하나

생각이 깊을수록 말은 단순해 진다고 한다.

4년 전 오늘 글이에요.

와인 파는 인문학자의 인문 일기

촬영 현장에 가면, 감독이  ‘레디'와 ‘액션’을 외친다. 몹시 슬픈 장면인데도 촬영 전 배우는 웃으며 스태프들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그러나  배우에게 ‘레디’는 촬영하기 전 짧게 준비하는 순간이 아니다. 그것은 한 배우가 그 장면을 위해 일생을 연습하고 준비해온 기간이다.

백영옥 소설가의 글에서 들은 이야기이다. 매주 월요일은 이야기의 힘을 공유하는 날이다. 가급적 많은 이야기를 소환하려 한다. “‘옛날 중국에 추앙추라는 유명한 화가가 있었다. 어느 날 황제가 그에게 ‘게’ 하나를 그려 달라고 했다. 추앙추는 열두 명의 시종과 집 한 채, 그리고 5년의 시간을 달라고 했다. 하지만 5년이 흘렀으나 그는 아직 그림을 시작하지도 않았다. 추앙추는 5년을 더 달라고 했고 황제는 이를 수락했다. 10년이 지날 무렵 추앙추는 붓을 들어 먹물에 찍더니 한순간에, 단 하나의 선으로, 이제까지 보았던 것 중에 가장 완벽한 게를 그렸다.’”

이 이야기는 느림을 칭찬한 것일까? 아니면, 속도를 칭찬한 것일까? 어쨌든  빠름은 종종 느림을 전제로 한다. 1만 시간 이상의 연습을 통해 5분 만에 곡을 쓰고, 30분 만에 코딩을 끝낸 작곡가와 프로그래머가 그렇다. 그러나 우리는 먼저 결과를 보기에 과정의 지난함을 잊는다. 임스체어로 유명한 임스는 “의자 디자인 아이디어는 어떻게 떠오른 겁니까”라는 질문에 “그건 한 30년 동안 떠오른 거예요”라고 답한다.

살아가면서 무언가를 배워 숙련된 단계에 도달하기까지는 수련의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오늘 하루를 지혜롭게 살기 위해서는 일생이 걸린다. 위대한 삶을 지향하는 자는 시간을 장악한다. 그런 사람은 자신의 삶을 단순하게 만들어 더 나는 자신을 만들기 위해 집중한다. 오늘 아침에 공유하는 시는 1995년  생으로  2021년 신문문예에 당선된 것이다.

단순하지 않은 마음/강우근

별일 아니야, 라고 말해도 그건 보이지 않는 거리의 조약돌처럼 우리를 넘어뜨릴 수 있고
작은 감기야, 라고 말해도 창백한 얼굴은 일회용 마스크처럼 눈앞에서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나는 어느 날 아침에 눈병에 걸렸고, 볼에 홍조를 띤 사람이 되었다가 대부분의 사람처럼 아무렇지 않게 살아가고 있다.

​병은 이리저리 옮겨 다니면서 밥을 먹고, 버스를 타고, 집으로 걸어오는 우리처럼 살아가다가 죽고 만다.

말끔한 아침은 누군가의 소독된 병실처럼 오고 있다.

저녁 해가 기울 때 테이블과 의자를 내놓고 감자튀김을 먹는 사람들은 축구 경기를 보며 말한다. “정말 끝내주는 경기였어.” 나는 주저앉은 채로 숨을 고르는 상대편을 생각한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아직 끝나지 않아서

밤의 비행기는 푸른 바다에서 해수면 위로 몸을 뒤집는 돌고래처럼 우리에게 보인다.

매일 다른 색의 빛으로 물들어가는 하늘 아래에서 사람들은 끊임없이 모이고 흩어지고 있다.

버스에서 승객들은 함께 손잡이를 잡으면서 덜컹거리고, 승용차를 모는 운전자는 차장에 빗방울이 점점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편의점에서 검은 봉투를 쥔 손님들이 줄지어 나오지.

돌아보면 옆의 사람이 없는, 돌아보면 옆의 사람이 생겨나는. 어느새 나는 10년 후에 상상한 하늘 아래를 지나고 있었다.

쥐었다가 펴는 손에 빛은 끈질기게 달라붙어 있었다. 보고 있지 않아도 그랬다.

내가 지나온 모든 것이 아직 살아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무사히 집으로 돌아가야만 했다.

단순하게 살고 싶다. "아무리 복잡한 문제라도 답은 언제나 간단한 법이다. 복잡한 생각을 걷어내야 비로소 길이 보인다. 하수는 단순한 것도 복잡하게 만들지만, 고수는 복잡한 것도 단순하게 푼다. 고수가 되고 싶다면 생각의 군살을 베어내라"는 글을 한 단체 카톡에서 읽었다.

생각을 도려내는 칼이 있다. 이 칼은 잡초처럼 무성한 생각들을 쳐내어 실체를 또렷이 드러나게 해준다. '사고(思考) 절약의 원리' 라고도 불리는 <오컴의 면도날 Occam's razor >이 바로 그것이다. 중세 영국의 신학자인 윌리엄 오컴이 제시한 이 논리는,  어떤 일을 설명할 때 복잡한 것 보다는 간단한 것이 정답에 가깝다는 것이 핵심이다. 하나의 현상에 두 개의 설명이 있다면, 긴 것보다는 짧은 것이 정답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이다.

생각이 깊을수록 말은 단순해 진다고 한다.  높고 깊은 경지에 이른 고수들의 말은 쉽고 간결하다. 복잡한 생각들을 걷어내고 단순하게 현상을 바라보기 때문이다. 현상은 복잡해도 법칙은 단순하다. 선택은 포기의 다른 이름이라고 한다. "버려라, 그러면 이긴다." 생각이 복잡하면 인생 길도 복잡하다.  쳐내면 쉽고, 버리면 가볍다!

이어지는 글은 블로그 https://pakhanpyo.tistory.com 을 누르시면 보실 수 있다.

#인문운동가_박한표 #우리마을대학_디지털_인문운동연구소 #사진하나_시하나 #강우근 #복합와인문화공방_뱅샾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