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운동가의 사진 하나, 시 하나

인문학이란 '자유를 위한 기술을 익히는 학문'이다.

6년전 오늘 글이에요.

인문 운동가의 사진 하나, 시 하나

어제에 이어 오늘은 세속주의의 이상적인 네 번째 가치로 '자유'에 대한 생각을 공유한다. 우리는 생각하고 조사하고 실험할 자유 없이는, 진리는 물론이고 고통에서 벗어날 길도 찾을 수 없다. 고통은 진리가 아닌 거짓 권위로부터 올 때, 더 심하다. 세속주의자는 자유를 중시하며, 어떤 텍스트나 제도, 지도자에게 최고 권위를 부여해서 옳고 그름의 최종 심판으로 삼는 일을 하지 않는다.

인간은 언제라도 의심하고, 다시 검증하고, 다른 의견을 듣고, 다른 길을 시도해볼 자유가 있어야 한다. 세속주의자는 지구가 정말 우주의 중심에 미동도 없이 앉아 있는지 용감하게 질문했던 갈릴레오 갈릴레이를 존경한다. 또한 1789년 바스티유 감옥으로 몰려가서 루이 14세의 폭군 체제를 무너뜨린 민중을 높이 평가한다. 또한 백인 승객에게만 허용된 버스 좌석에 앉는 용기를 발휘한 로자 파크스를 찬양한다.

자유(自由)를 말 그대로 하면, 자기(自己)의 이유(理由)로 살아가는 것이다. 모든 것이 자기로 말미암는 일이다. 다시 말하면, 무엇에 얽매이지 않고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일 또는 그런 상태이다. 여기서 '말미암다'라는 말이 흥미롭다. "어떤 현상이나 사물 따위가 원인이나 이유가 되다"란 뜻이다. 그래 자유는 일체의 권위에 대한 비판과 함께 저항하는 데서 나온다.

우리는 인문학을 영어로 liberal arts라고 한다. 이걸 말 그대로 번역하면 "자유기술"이다. 그러니까 인문학이란 '자유를 위한 기술을 익히는 학문'이다. 최종 목적지는 '자유인'이 되는 것이다. 자유인으로 자유를 제대로 누리기 위해서는 기술이 필요하다. 그리스 사회는 자유인과 노예로 이루어진 사회였다. 이 사회에서 자유인에게 요구되는 것은 하루하루 습관적으로 살아가는 노예와 다른 품성(덕, 德)이 요구되었다.이를 위한 기술들을 살펴보면, 우선 생각하는 사람이어야 한다. 그러니까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자유인이 아니다. 그 다음은 세계를 비판적으로, 그리고 분석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그저 주어진 것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드리며 살아가는 것은 노예의 삶이다. 그 다음은 자신의 생각을 똑바로 말하고 표현할 줄 알아야 한다. 자신의 의지대로 살고자 하면 말이나 글을 정확하게 사용햐여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설득해야 한다.

인문학은 우리를 자유인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혜를 제공한다. 그러니 인문학을 한다는 것은 책이나, 인문학 강의를 들을 때, 생각하며, 그리고 비판하며 읽거나 들어야 한다. 또한 자유인, 곧 자유롭고 독립적인 존재가 되고자 하는 열망을 품고 책을 읽거나 강의를 들어야 한다.

자유인과 노예의 차이는 무엇인가? 우리 사회는 튀지 말고 나서지 말고 무리 속에 묻혀서 무난하게 지내도록 교육받고 있다. 이게 심하게 이야기 하면 노예적 삶이다. 이들은 자유인적 삶을 두려워 한다. 복학한 학생들이 이렇게 말한다. "차라리 군대 있을 때가 더 좋았다." 제대한 후, 자유가 너무 많이 주어지니까 더 괴롭다는 것이다. 옷을 입는 것도 그렇다. 프랑스에서 가장 싫어하는 직업이 경찰, 군인, 성직자이다. 이유는 제복을 입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유롭게 자기가 원하는 대로 옷을 입지 못한다는 이유 때문이다.

에릭 프롬의 "자유로부터 도피"가 이해된다. 그래서인지 우리 사회는 자유인을 위한 인문학적 소양보다는 노예적 삶을 위한 기술과 테크닉에 관심이 많다. 남과 다르게 생각하고 사는 것을 목표로 하는 사람이 드물다. 알량한 인문적 지식을 습득하여 암기하는 것이 아니다. 그냥 인터넷에 떠도는 "좋은 글"을 읽는다고 인문학을 하는 것은 아니다. 인문학을 통해 인문정신을 배워야 한다.

"자유" 하면, 오늘 공유하는 시가 떠오른다. 자유, 그거 어렵다. "자유를 위해서/비상(飛翔)하여 본 일이 있는/사람이면" 안다.

푸른 하늘을/김수영

푸른 하늘을 제압(制壓)하는
노고지리가 자유로왔다고
부러워하던
어느 시인의 말은 수정(修正)되어야 한다

자유를 위해서
비상(飛翔)하여 본 일이 있는
사람이면 알지
노고지리가
무엇을 보고
노래하는가를
어째서 자유에는
피의 냄새가 섞여 있는가를
혁명은
왜 고독한 것인가를

혁명은
왜 고독해야 하는 것인가를

#인문운동가박한표 #파리10대학문학박사 #대전문화연대 #사진하나시하나 #김수영 #자유 #와인비스트로뱅샾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