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운동가의 인문에세이

선이란 내가 생각하기에 좋은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느끼기에 좋은 것이다.


배철현 교수는 <묵상>에서 말했다. 인간은 다음의 세 가지에 집착한다고. 자식(子息), 명성(名聲) 그리고 부(富). 나도 그렇게 생각한다.

주변 사람들과 만나다 보면, 대부분이 이 세 가지에 주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자신이 죽더라도 자신의 분신인 자식을 통해 영원히 살 것이라고 착각한다. 자식의 성공을 위해 애쓸 뿐만 아니라, 자신이 모은 재산을 모두 물려주려 한다. 자식은 우리의 몸을 통해 세상에 태어난 신의 선물이며, 독립적인 생명체이다. 그들이 자립하는 인간이 되도록 안내하는 것이 부모의 책임이다.

그리고 명성에 집착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평가하는 내가 곧 나 자신이라고 착각한다. 흔히 과거에 이러한 일을 했다고 자랑하며 과거의 추억으로 먹고 산다. 오늘의 나는 과거의 결과물이며 동시에 미래의 내가 되길 위해 탈출해야 할 감옥이다. 오늘의 나는 내일 도착해야 할 그 목적지를 향해 걸어가는 구도자일 뿐이다.

그 다음은 부에 집착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번 돈의 양이 곧 자신의 인격이자 실력이라고 착각한다. 부를 관장하는 운명의 여신은 부의 편중을 싫어한다. 자신이 부를 쥐었다면, 자신보다 운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그 부가 자신에게 좀 오래 머물 뿐이다.

착각하며 정해진 순간을 사는 그리고 흙으로 돌아가야만 하는 우리 인간이 추구해야 할 최고의 가치는 선행(善行)이다. 배철현 선생의 글에서 알았다.

선이라는 단어는 고전 히브리어로 '토브(tob)'이다. 구약성서에서 토브는 올리브 기름을 수식하는 형용사로 종종 등장한다. 그러니까 토브는 그 기름이 최상급인지 아닌지는 향기를 통해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최고 요리사가 만든 음식이나 어머니가 만들어 주시는 반찬의 향기와 맛이 '토브'이다. 그리고 '토브'는 위대한 성악가의 아름다운 목소리이며, 예술가의 조각이나 회화, 대자연의 장관을 형용하는 단어이다. 그러니까 선(善)은 아름다움이고, 거짓이 아닌 진실된 것이다. 여기서 진선미(眞善美)가 다 만난다.

'토브'는 '보기에 좋고, 듣기에 좋고, 냄새가 좋고, 맛이 좋고, 촉감이 좋은' 상태를 말한다. 향기와 맛처럼, 그것을 접하는 상대방이 느끼는 '토브'의 선(善)은 내가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접하는 상대방이 느끼는 어떤 것이다. 선이란 내가 생각하기에 좋은 것이 아니라 상대방이 느끼기에 좋은 것이다. 그 기준이 절대적으로 상대방에 달려 있다.

중요한 것은 선은 개념이 아니라, 행위이다. 선은 행동으로 옮겨져야 완성된다. 그러니까 정해진 순간을 사는 인간이 추구해야 할 최고의 가치가 선행(善行)이다.

배철현 교수는 구약성서의 <미가서>를 인용하며, 선행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정의를 행하고, 자비를 추구하며, 겸손하게 네가 만난 신이 요구한대로 생활하는 것이다." (<미가서> 6:8)

미가는 우리가 가장 매력적인 향기를 잔잔하게 내뿜을 수 있는, 인향(人香)의 비밀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말해주었다. 늘 마음에 새기고 실천하려고 노력해야 동물적인 인간에게서 신적인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나는 본다.
- 정의 실천하기
- 자비 희구하기
- 겸손 생활하기

자세한 설명은 다음 포스팅으로 옮긴다.

#인문운동가_박한표 #우리마을대학_인문운동연구소 #사진하나_시하나 #이시영 #복합와인문화공간_뱅샾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