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는 참 여러 가지 꽃들이 핀다. 그래서 ‘보다’라는 동사에서 ‘봄’이라는 명사가 태어난 것 같다.
제일 먼저 봄을 기다리는 꽃은 동백꽃, 성급해서 눈 속에서 핀다. 그 다음은 버들강아지-갯버들 꽃, 다음은 산수유와 매화 그리고 목련이 이어진다. 병아리가 생각나는 개나리가 거리를 장식하는 동안, 명자 나무 꽃, 산당화 그리고 진달래가 봄 산을 장식한다. 다음은 벚꽃(사꾸라)이 깊어가는 봄을 알린다. 그 사이에 마을마다 살구꽃, 배꽃, 복숭아꽃이 이어진다. 그 끝자락에 철쭉과 영산홍도 자신의 순서를 기다린다. 이런 시도 있다.
순서/안도현
맨 처음 마당 가에
매화가
혼자서 꽃을 피우더니
마을회관 앞에서
산수유나무가
노란 기침을 해댄다
그 다음에는
밭둑의 조팝나무가
튀밥처럼 하얀
꽃을 피우고
그 다음에는
뒷집 우물가
앵두나무가
도란도란 이야기하듯
피어나고
그 다음에는
재 너머 사과 밭
사과나무가
따복따복 꽃을
피우는가 싶더니
사과 밭 울타리
탱자 꽃이
나도 질세라, 핀다.
그런데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가 병들어 꽃이 피는 순서가 무너졌다. 선(善)이 대접을 받지 못하고, 악(惡)이 이 세상을 끌고 가는 세상을 경고하고 있는 것이다. 이 세상은 ‘엉터리’ 학교이다. 선을 행했는데, 칭찬을 받지 못하고, 악을 행해야 대접을 받는 사회-학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주의 질서가 무너지고 있다. 꽃이 ‘폭죽처럼’ 한 번에 만발하며, 한 번에 지는 길을 걸으면서 들은 생각이다.
그래도 꽃들은 피었다가 가야 할 때를 알고 떠났다.
낙화/이형기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봄 한철
격정을 인내한
나의 사랑은 지고 있다.
(…)
꽃들이 피고 지는 모습이 제 각각이다. 그런 모습 속에서 우리는 우리들의 삶과 죽음을 볼 수 있다. 꽃은 피었으면 진다. 순리이다. 낙화가 없으면 녹음도 없고, 녹음이 없으면 열매도, 씨도, 그리하여 그 이듬해의 꽃도 없다. 그러니 우리도. 너무 현재를 붙잡으려 하며 추해지지 말아야 한다. 우리도 때가 되면 결별할 줄 알아야 한다.
꽃들은 저 마나 피어나고 지는 모습이 다르다. 우리 인간들도 저마다 살다가는 길이 제 각각인 것처럼.
동백은 한 송이 개별 자로서 피었다가, 주접스런 꼴 보이지 많고 절정의 순간에 뚝 떨어지며 진다.
매화꽃, 벚꽃, 복사꽃, 배꽃은 풍장을 한다. 꽃잎 한 개 한 개가 바람에 흩날리다 땅에 떨어져 죽는다.
산수유는 어른거리는 꽃의 그림자로 피었다가 노을이 스러지듯 살짝 종적을 감춘다. 나무가 숨기고 있던 지우개로 저 자신을 지우는 것 같다고 김훈은 묘사한 적이 있다. 나도 내 삶을 지우개로 지우고 싶은 부분이 있다. 산수유처럼.
그리고 길게 이야기 하고 싶은 꽃이 목련이다. 목련은 도도하게 피었다가 질 때는 지저분하다. 목이 부러질 듯이 하늘을 향해 봉우리를 치켜 올리며 뽐내다가 질 때는 남루하다. 누더기가 되어 나뭇가지에 너덜거리다가 바람에 날려 땅바닥에 떨어진다. 한꺼번에 뚝 떨어지지 않고 잎 조각들로 느리게 사라진다. 온갖 추한 모습을 보이며. “아무래도 그렇게는 돌아서지 못하겠다”(복효근)는 것인가? 너무 사랑했기 때문에.
꽃과 만나고 이별하면서, 행복한 봄의 한철이 되도록 하고 싶다.
지인 페북에서 사진 캡처
'인문운동가의 인문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잃어버린 ‘반쪽이’ 이야기 (2) (0) | 2022.03.24 |
---|---|
잃어버린 ‘반쪽이’ 이야기 (1) (0) | 2022.03.24 |
'참나'를 찾는 여행 (0) | 2022.03.13 |
인문운동가가 찾은 오늘의 한 마디 (07/03/19) (0) | 2022.03.07 |
포기하는 즐거움, 얻는 자유 (0) | 2022.03.07 |